> 진료분야 > 산과 > 산전관리
산과
산모와 태아의 건강을 최우선으로 생각하는
여성메디파크병원의 산과 클리닉입니다.
임신 중 가장 무리가 없는 운동은 수영이며 뱃속의 아기도 무척 좋아한다.
수영을 해왔던 사람이 임신 중에도 계속 하려면 지도자의 지시를 따르고, 여태까지 하지 않았던 사람이라면 일부러 시작할 필요는 없다.
산전관리
양수가 흐르는 경우

- 임신 주수에 관계없이 진통이 오기 전에 양막이 파수되어 흐르는 것을 조기양막 파수(premature rupture of membranes)라고 한다.
- 발생 빈도는 대략 5~20% 정도로 다양하다.
-
01. 조기양막파수에서 문제점
- * 대부분의 경우에서 조만간 진통이 온다는 것이다.
- * 조기 양막파수가 된 후 12시간이 지나면 융모 양막염이 생길 수 있으므로 항생제를 투여한다.
- * 이때는 각 임신 주수에 따라 처치가 달라지며 또한 반드시 분만을 요하는 경우와 그렇지 않고 임신을 지속해야 하는 경우로
구분되어 진다.
- * 그렇다고 양수가 흐르는 상황에서 마냥 임신을 지속시키는 것도 그리 좋은 것이 아니다.
- - 진통이 지연된 경우 신생아의 주산기 사망률과 호흡기와 신경계 손상을 동반한 질병 발생률이 증가한다는 보고가 있기 때문이다.
- - 그러나 조산이 될 경우의 신생아의 결과보다 자궁 내의 환경에서 성장하는 것이 더 좋은 결과를 보이므로 필요한 경우 진통을
지연시키는 것이다.
-
02.조기양막파수의 원인
- - 아직까지 명백한 원인은 잘 밝혀져 있지 않지만 모체 영양결핍, 감염, 흡연, 출혈, 태아막의 선천적 이상 등이 발생과 관련되어 있다.
-
03.진단하는방법
- - 산모가 물 같은 것이 흘렀다는 것을 아는 것이 중요하다.
- - 흐른 양과 흐르기 시작한 시간은 진단과 치료에 중요한 정보이다.
- - 나이트라진 검사용지의 색이 변하는지를 관찰한다.
- (용지는 오렌지 색이며 양수가 묻으면 초록색 내지는 푸른색으로 변한다.)
<나이트라진 검사>
2~3cm 가량의 길이로 질 후방 상부에 고인 액을 적시면 양수인 경우 오렌지색이 녹색 내지는 푸른색으로 변하는 것을 볼 수 있다.
-
04.조기양막파수의 처치
- ◎ 산모는 물 같은 것이 흐르면 일단 산부인과를 빨리 오는 것이 중요하다.
- ◎ 만삭이라도 12시간 이상 방치하면 감염 질환에 걸릴 수 있기 때문이다.
- ◎ 이는 산모뿐만 아니라 태아에도 치명적인 결과를 초래할 수 있다.
- ◎ 만삭 전인 경우의 처치는 상황에 따라 좀 다르다.
- - 일단 산부인과를 빨리 방문하는 것이 좋다. 위에서 언급한 감염과 조기 진통이 생기기 때문이다.
- 큰 병원의 경우 임신 24~25주 이상이 되면 신생아를 살릴 수 있으나 그 이전 이면 생존하기가 힘들다.
- 이럴 경우는 유산이 되는 것이다.
- 그러므로 현재의 임신 주수와 분만 예정일을 아는 것은 중요하다.
- ◎ 24~25주 이상인 경우는 즉시 분만을 해야 하는 경우와 임신을 지속해야 하는 경우를 판단하고 처치한다.
- - 임신을 지속한다는 것은 손실과 이익을 생각했을 때 자궁 내에 있는 것이 태아에게 유리하기 때문이다.
-
05.분만을 해야 하는 경우
- ① 진통이 진행되어 억제하기 힘든 경우
- (자궁 경부가 4cm 이상 열린 경우)
- ② 태아 폐 성숙이 확인된 경우
- (임신을 지속하는 것은 조산아의 폐를 성숙시키기 위함이다.)
- ③ 태아가 기형이 있는 경우
- ④ 자궁 내 태아 성장 장애가 있는 경우
- ⑤ 태아 곤란증이 나타나는 경우 - 자궁 내 환경이 부적절하다는 것이다.
- ⑥ 융모 양막염의 진단이 의심되는 경우
- ⑦ 산모의 감염의 위험성이 높은 상태인 경우
- ⑧ 산모의 전신 상태가 위험하거나 위험이 예상되는 경우
- (임신 중독증, 조기 태반 박리 등)
-
06.진단하는방법
- ◎ 일단 침상 안정을 한다.
- ◎ 감염의 위험을 막기 위해 태아에게 가장 안전한 항생제를 사용하고,
- ◎ 태아 뇌출혈의 발생을 줄이기 위해 비타민 K를 주사하고,
- ◎ 폐성숙 유도를 위해 스테로이드를 주사한다.
- ◎ 양수의 생성을 촉진하기 위해 수액을 적절히 공급하여야 한다.
- ◈ 진통이 오는 경우 자궁수축 억제제를 적절히 사용하며 매일과 매주 피검사 및 초음파 검사, 태아 심박동수 검사, 자궁 수축
검사 등을 시행한다.
- ◈ 대개 34주에 이르면 분만을 고려한다.
- -> 이 시기에는 태아의 폐성숙이 어느 정도 되었고 더 지연한다는 것은 감염과 기타 태아의 합병증을 줄일 수 없기 때문이다.